축산업과 미생물, 왜 중요한가?
축산업은 단순히 가축을 키우는 산업이 아닙니다.
사료, 소화, 위생, 환경, 생산성 등 수많은 요소가 유기적으로 맞물리는 종합 생명 산업이며, 그 중심에 ‘미생물’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축산, 무항생제 사육, 악취 저감 등 지속가능한 축산이 강조되면서, 축산용 미생물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축산에서 활용되는 주요 미생물의 종류, 역할, 그리고 적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축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의 분류와 역할
축산 현장에서 사용하는 미생물은 크게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분류됩니다.
1) 사료 효율 개선 및 장 건강
가축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유지하고, 소화 흡수율을 높여주는 미생물입니다.
유산균(Lactobacillus spp.)
위산에 강하고, 젖산을 생성해 장내 유해균 억제
가축의 소화 기능을 높이고 설사 예방에 효과적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등)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사료 분해를 도우며
장내 환경을 안정화시켜 면역력 강화에 기여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반추위 내 미생물 활성을 촉진해 사료 섭취량과 소화율 향상
특히 소, 양과 같은 반추동물에서 효과가 높음
2) 악취 저감 및 분뇨 처리
축산 악취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휘발성 지방산 등에서 비롯되며, 이를 미생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광합성세균(Rhodopseudomonas spp.)
분뇨 내 유기물 분해 및 악취물질 분해
냄새 저감과 함께 분뇨 액비화에 활용 가능
니트로박터(Nitrobacter),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암모니아를 질산으로 산화시키는 질산화균
암모니아성 악취 저감에 핵심적 역할
EM(Effective Microorganisms)
유산균, 효모, 광합성세균 등 복합균주
퇴비화 과정 촉진, 냄새 제거, 병원균 억제에 효과
3) 면역력 강화 및 생산성 향상
건강한 장내 미생물 환경은 곧 면역 체계의 기초가 되며, 이는 성장률과 번식력에도 영향을 줍니다.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faecium)
병원균의 부착을 막고 장내 정착균 형성
항생제 대체제로 활용 가능
클로스트리디움 부틸리쿰(Clostridium butyricum)
장 상피세포 보호와 면역 강화에 기여
유해균 억제와 더불어 생산성 향상 효과
2. 축종별 미생물 활용 전략
가금류(닭, 오리 등)
장이 짧고 사료 전환율이 중요하므로
유산균과 바실러스균을 중심으로 활용
계분 악취 저감을 위해 분뇨 처리 시 광합성세균, 효모를 사용
양돈
장내 질병(설사, 복통)이 잦아 유산균과 클로스트리디움 균주 사용
돈사 악취 저감을 위해 분뇨에 EM이나 광합성세균을 정기적으로 살포
번식기 암퇘지의 면역력 강화를 위한 효모 첨가도 효과적
한우, 젖소
반추위 미생물 밸런스를 위해 효모, 바실러스균 급여
젖소의 경우 유선염 예방을 위한 장내 미생물 관리가 중요
퇴비화 처리 시 고초균, 광합성세균을 혼합하면 발효가 빠르고 냄새도 감소
3. 축산 미생물 활용의 실제 효과
다양한 연구와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해 축산 미생물의 효과는 명확히 입증되고 있습니다.
사료 효율 증가: 바실러스균 급여 시 사료전환율(FCR)이 향상되고, 체중 증가율이 평균 5~10% 증가
악취 저감: 광합성세균과 EM 처리로 암모니아, 황화수소 농도가 30~60% 감소
면역력 향상: 유산균과 효모 병용 시 병원성 설사 빈도 감소, 항생제 사용량 절감
질병 감소: 유익균 정착으로 인해 살모넬라, 대장균증, 폐사율 감소
4. 축산 미생물 활용 시 주의사항
과도한 사용 주의: 균형 잡힌 사용이 중요하며, 과다 사용 시 미생물 간 경쟁으로 역효과 발생
현장 조건 고려: 온도, 습도, 사육 환경, 사료 성분 등에 따라 미생물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
보관 및 관리 철저: 살아있는 균주이므로 보관 온도, 유통기한, 살포 방법을 정확히 지켜야 효과 유지
항생제 병행 사용 금지: 특정 항생제는 유익균까지 죽일 수 있으므로 병행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함
축산의 미래는 미생물에 달려 있다
축산업은 더 이상 ‘많이 먹이고, 빨리 키우는’ 시대가 아닙니다.
가축의 건강, 축산 환경, 소비자 안전까지 모두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생물은 친환경 축산을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농장 규모나 축종에 맞는 맞춤형 적용 전략이 중요합니다.
축산용 미생물의 체계적 활용은 생산성은 물론 가축 복지, 환경 문제 해결까지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앞으로는 단순한 제품 선택이 아니라, 축산 미생물 프로그램 설계와 실천이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비 부숙에 사용되는 미생물: 유기물 분해와 악취 저감의 핵심 기술 (0) | 2025.04.15 |
---|---|
작물별 추천 미생물: 어떤 미생물이 어떤 작물에 좋을까? (0) | 2025.04.15 |
고초균(Bacillus subtilis)의 기능과 친환경 방제 효과 (0) | 2025.04.15 |
입단화된 토양이 좋은 이유는? (2) | 2025.04.14 |
뿌리는 왜 ‘숨을 쉬어야’ 할까?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