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초균이란 무엇인가?
고초균(Bacillus subtilis)은 토양 속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혐기성 간균으로,
스스로 포자를 형성하며 열과 자극에 강한 생존 능력을 가진 미생물입니다.
우리 주변의 흙, 식물의 뿌리, 심지어 인간의 장내에서도 발견되며,
특히 농업에서의 생물학적 방제(Biological Control) 역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초균의 주요 기능 5가지
1. 병원성 균 억제
고초균은 다양한 항균물질(antimicrobial compounds)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서브틸린(Subtilin)
이투린(Iturin)
푸밀리신(Fengycin)
이러한 물질은 곰팡이균, 세균성 병원균의 세포막을 파괴하거나
영양 흡수를 방해해 병해 억제 효과를 발휘합니다.
👉 대표적으로 흰가루병, 역병, 탄저병, 무름병 등을 예방합니다.
2. 식물 면역 유도(Induced Systemic Resistance)
고초균은 식물의 방어 시스템을 자극해
병원균 침입 시 빠른 방어 반응을 유도합니다.
이는 식물 스스로의 방어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ISR(Induced Systemic Resistance) 기작에 해당하며,
화학약품과 달리 식물체의 생장에는 전혀 해가 없습니다.
3. 토양 미생물 군
집 개선
고초균은 토양 내 유익균 비율을 높이고, 병원성 미생물의 서식 환경을 불리하게 만듭니다.
유기물 분해력도 높아 토양의 통기성, 보습력, 입단화 구조를 돕는 데 기여합니다.
4. 작물 생장 촉진
고초균은 식물 호르몬인 IAA(Indole-3-Acetic Acid)를 생성하여
작물의 발근 촉진, 잎 생장, 개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또한, 인산·칼륨 가용화 능력을 통해
작물이 토양 내 영양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5. 환경적 스트레스 완화
고초균은 고온, 가뭄, 염류 등으로 인한
식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소와 대사산물을 분비합니다.
이로 인해 작물의 생존력과 수확 안정성이 증가합니다.
친환경 방제 수단으로서 고초균의 강점
항목 | 고초균 | 화학농약 |
병해 억제 효과 | 균의 증식 차단, 면역 유도 | 병원균 직접 살균 |
환경영향 | 토양 생태계 개선 | 토양 오염, 내성 유발 |
작물 성장 | 호르몬 생성 및 발근 촉진 | 생육 저해 가능 |
인체 및 잔류 독성 | 없음 | 인체 유해 가능성 |
고초균은 병해 억제와 동시에 토양 건강 유지, 작물 생육 증진, 안전성 확보라는
3박자를 모두 충족하는 미래형 농자재입니다.
고초균 활용 시 유의사항
살균제와 병용 금지: 고초균은 살아있는 생균이므로 화학 살균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기온과 습도 고려: 토양 온도 20~30℃, 적절한 수분이 있는 조건에서 증식이 활발합니다.
지속적 사용 필요: 토양 생태계 유지를 위해 주기적인 시비가 바람직합니다.
마무리: 고초균은 땅을 살리는 생명력입니다
농약과 화학비료에 의존하던 시대는 점차 저물고 있습니다. 이제는 자연을 살리고, 작물도 건강하게 키우는 방식,
즉, 미생물 기반의 친환경 농업이 중심이 되는 시대입니다.
고초균은 그 선두에 있는 강력하고도 안전한 파트너입니다. 당신의 토양에 고초균이라는 ‘자연의 백신’을 접종해보세요. 지속가능한 농업, 그 첫걸음을 고초균이 함께합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에 쓰이는 미생물: 사료 효율부터 악취 저감까지, 축산 미생물의 모든 것 (0) | 2025.04.15 |
---|---|
작물별 추천 미생물: 어떤 미생물이 어떤 작물에 좋을까? (0) | 2025.04.15 |
입단화된 토양이 좋은 이유는? (2) | 2025.04.14 |
뿌리는 왜 ‘숨을 쉬어야’ 할까? (1) | 2025.04.14 |
유산균, 뿌리부터 살아나는 식물 건강의 열쇠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