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

클로렐라 미생물

by 곰깨비네 2025. 5. 9.
728x90
반응형

 

 

클로렐라 미생물이 농업에 미치는 효과와 올바른 활용법


요즘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생물학적 자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 **‘클로렐라’**라는 미생물은 토양과 작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생물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클로렐라가 어떤 미생물인지, 농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효과적인 사용법까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클로렐라는 어떤 미생물인가요?

 


클로렐라는 담수에 사는 **단세포 녹조류(녹색 미세조류)**입니다.
광합성을 하며 스스로 살아가는 식물성 미생물로, 현미경으로만 보일 정도로 작습니다.
자연 속에 흔히 존재하며, 빠른 번식력과 생존력 덕분에 농업용으로도 활용됩니다.

✔️ 크기: 2~10㎛
✔️ 생존 방식: 자가영양 (광합성)
✔️ 서식지: 담수, 습지 등


클로렐라가 농업에서 하는 역할은?


1. 작물 생장 촉진
클로렐라는 광합성을 통해 아미노산, 비타민, 성장호르몬 등을 생성합니다.
이 물질들이 작물에 흡수되면 줄기, 뿌리, 잎의 생장이 활발해집니다.

2. 광합성 활성화
클로렐라 희석액을 잎에 분사하면 기공 작용이 활발해져 작물의 자체 광합성 능력도 향상됩니다.
햇빛을 잘 받는 작물일수록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토양 미생물 활성화
클로렐라 자체가 유익한 미생물의 먹이가 되기 때문에, 유산균·고초균·광합성균 등과 시너지 효과를 냅니다.
토양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4. 병해 예방 및 면역력 강화
클로렐라에 포함된 항산화 물질과 항균 성분은 작물의 저항성 향상에도 도움을 줍니다.
직접 병원균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작물이 스스로 병해를 견디는 힘을 키워줍니다.


클로렐라의 사용 방법은?


✔️ 엽면시비
희석한 클로렐라를 작물 잎에 직접 분사하는 방법입니다.
햇빛이 너무 강하지 않은 이른 아침이나 해 질 무렵이 적절하며, 광합성 촉진 효과가 뛰어납니다.

✔️ 관주 방식 (뿌리 급수)
희석액을 토양에 뿌려서 작물 뿌리로 흡수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클로렐라는 토양 속 유익 미생물과 함께 작용하며 뿌리 활력을 높이고 토양 개량에도 기여합니다.

✔️ 종자 침지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클로렐라 희석액에 담그면 발아율과 초기 활착률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보관과 혼합 시 주의할 점


희석비율: 일반적으로 500~1000배 희석 사용

보관조건: 광합성이 필요한 균이므로 하루 8시간 이상 빛, 20~28도, 공기 순환(교반) 필요

다른 균과 혼합: 고초균, 유산균, 효모균과는 혼합 보관 가능
→ 단, 광합성균은 따로 보관해야 안정성 유지


마무리 요약


클로렐라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미생물로, 작물 생육 촉진, 광합성 활성화, 토양 미생물 증식, 병해 예방 등에 효과가 큽니다.
농가에서는 엽면시비, 관주, 종자 침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관 시 빛과 온도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